온라인 진단시스템

조직건강도 진단

조직건강도 진단이란?

이미지

사람들이 매년 건강진단을 받는 것처럼 회사도 정기적으로 자신들의 조직을 진단하고 분석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랫동안 성장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앞으로도 계속해서 지금처럼 잘 해나갈 것이라 굳게 믿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문제 발생의 원인을 제때에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지

BCK컨설팅그룹의 조직건강도 진단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 변경 · 직무의 재설계 · 새로운 인사시스템 등을 실시하게 되면, 조직운영 상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결과와 이슈 도출이 가능합니다. 향후 방향성의 도입이나 구조 개선, 상호 소통, 사원(직원?)의 의식변화 등 혁신에 필요한 기업 자원의 전략적 배분이 가능하며, 변화에 있어서 인간이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는 저항을 완화시켜 전사원의 의식을 한 방향으로 모을 수 있는 좋은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진단 모델

조직건강도 진단 모델은 조직 활동을 입력(Input) 및 출력(Output)의 변환 과정으로 가정하고 있습니다. 조직 활동의 계획은 환경에 맞게 전략을 구축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즉 이 모델은, 계획한 결과/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전략을 Output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업무, 구조, 인력, 조직문화)의 각 요소와 부합해야 한다는 사상에 기반합니다.

조직 합치성 모델

이미지

ⒸMichael L. Tushman

아웃풋

  • 조직운영사항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부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부분의 확인을 통해 조직 전체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Best 인식과 Worst 인식의 구분이 가능합니다.
  • BCK컨설팅그룹에서 최근 3년간 조직건강도 진단을 실시한 타 기업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타사 대비 자사 직원의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의 항목을 파악합니다.
  • ASD 분석을 통해 자사의 강점/약점, 인식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기대효과

이미지
  • 조직의 강점 및 개선점이 명확해지며 어떤 개입이 필요한 지 알 수 있습니다.
  • 진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사원들이 공통의 기반에서 생각하고 건설적으로 토의할 수 있습니다.
  • 조직의 건강도 진단 설문 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직 내에서 조직 활성화 및 변화의 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조직문화 밸런스 진단

조직문화 밸런스 진단이란?

  • 조직문화 밸런스 진단은 조직문화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방향성을 모색하는 진단입니다.
  • 본 진단에서는 조직을 관리하는 방법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조직문화의 유형을 하기의 4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 아이콘

    관계지향 문화

    조직 내 가족적인 인간관계의 유지에 최대의 역점이 두어짐. 구성원들 간의 소속감과 상호 신뢰, 그리고 참여가 이 문화유형의 핵심가치가 됨.
  • 아이콘

    혁신지향 문화

    조직의 유연성을 강조하며, 특히 조직이 당면한 외부환경에의 적응을 중요시함. 따라서 이러한 적응과 조직 성장을 뒷받침하는 자원 획득과 구성원들의 창의성/기업가 정신을 중심 가치로 둠.
  • 아이콘

    성과지향 문화

    조직의 성과 달성과 과업 수행에 있어서의 생산성을 강조함. 조직 내 명확한 목표 설정과 그에 따른 구성원들 간의 경쟁이 주요한 자극제로 작용함.
  • 아이콘

    위계지향 문화

    안정적인 기반 위에서 조직 내부의 효율성을 추구함. 규칙에 의한 규제와 질서의 강조가 중심 가치로 자리 잡음.

기대효과

  • 조직문화 밸런스 진단은 <현재>와 <장래>의 희망하는 모습과의 GAP을 파악함으로써, 조직문화와 조직이 가져야 할 가치관의 방향성을 모색합니다.
  • 특히, 문화를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분석하여 GAP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커리어 포텐셜 진단

커리어 포텐셜 진단이란?

  • 고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Competency의 현재 발현 레벨을 이해하기 위한 진단입니다.
  • 이 진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필요한 Competency를 파악하고 향후 계발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단 모델

커리어 포텐셜 진단에서는 관리자에게 필요한 속성을 33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크게는 지적 속성ㆍ대인관계 속성ㆍ자기 내면 속성ㆍ기본 동기 속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아이콘

    지적 속성

    지성이나 지적 능력에 관한 특질을 말하며, 9가지의 속성이 확인되고 있다.
  • 아이콘

    대인관계 속성

    대인관계에 대한 특질을 말하며, 5가지의 속성이 확인되고 있다.
  • 아이콘

    자기 내면 속성

    자신의 내면에 관한 인식의 특질을 말하며, 13가지의 속성이 확인되고 있다.
  • 아이콘

    기본 동기 속성

    기본 동기로 이어지는 자극 요인에 관한 특질/성질을 말하며, 6가지의 속성이 확인되고 있다.

기대효과

  • 관리자에게 필요한 Competency 확인
    • Competency의 실천 레벨 측정을 통해 매니저로서 고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Competency 계발 포인트 확인
  • 관리자로서 자신의 인재상 확인
    • 조직을 움직여 나감으로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지, 혹은 특정 업무와 전문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유형인지를 파악하고 계발 포인트를 확인
이미지

리더십 다면진단

리더십 다면진단란?

조직에서 필요한 관리자의 역할을 토대로 발휘해야 할 역량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현상을 파악함으로써 관리자의 체계적인 육성을 도모합니다.

진단 방식

리더십 다면진단는 (360도) 자기 자신, 상사, 부하직원이 진단에 참여합니다. 회사에 따라 동료나 타부서의 협조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미지

내용 및 구성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진단합니다. (ex 의사결정, 팀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관리 등) 각 회사마다 역량 모델이 다르므로 각 사의 역량모델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진행하거나 BCon의 역량 풀을 활용합니다.

  • 목표
    관리
  • 조직
    활성화
  • 의사
    결정

  • 빌딩
  • 지식
    경영
  • 커리어
    개발
  • 실적
    향상

LIFO 진단

LIFO란?

이미지
  • LIFO = Life Orientations (인생을 살아가는 행동 스타일)
    LIFO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행동 유형 이론(FIRO-B)을 바탕으로 미국의 심리학자인 Dr. Stuart Atkins와 Dr. Allan Katcher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1976).
    자신의 강점을 발견함과 동시에 타인의 행동 스타일을 이해함으로써 폭넓은 커뮤니케이션과 리더십 개발을 유도하는 세계적인 행동 심리 프로그램입니다.
  • LIFO®에 대한 모든 판권과 지적 재산권, 강의권을 BCon(BCK컨설팅그룹)에서 독점하고 있으며, 공인된 트레이너를 통해 최고 수준의 LIFO 오리지널 강의를 제공하고 있는 진단 프로그램입니다.
  • Not Fixed Styles
  • Simple & Fun
  • Global Program

LIFO의 4가지 유형

  • 아이콘

    지지 · 포기형 (S · G형)

    S/G 기본적 가치관:탁월성
    개인의 목표
    타인을 이해심으로 대하는
    가치 있는 사람
    기본적 지향
    우수함을 추구하며 이상에 따라서 행동하며, 자신의 양심에 만족하면 반드시 보상을 받는다.
  • 아이콘

    통제 · 쟁탈형 (C · T형)

    C/T 기본적 가치관:행동
    개인의 목표
    활동적이며 우수한 사람
    기본적 지향
    무슨 일이든 스스로 일을 추진하려고 한다.
    자신의 유능함을 사람들에게 믿게 하고 싶어 한다.
  • 아이콘

    신중 · 고집형 (C · H형)

    C/H 기본적 가치관:이성
    개인의 목표
    객관적, 합리적인 사람
    기본적 지향
    현재 있는 것을 유지하고 현재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주의 깊게 합리적으로 미래를 만들어 가는 것을 추구한다.
  • 아이콘

    적용 · 동조형 (A · D형)

    A/D 기본적 가치관:조화
    개인의 목표
    호감 있는 사람
    기본적 지향
    논리나 이성보다는 조화와 화합을 중시한다.
    주변 상황에 자신을 맞추어 행동하는 것을 추구한다.

LIFO의 활용

이미지
  • 신입사원의 입문과정부터 부서 배치, Follow-up
    • 자신의 행동 특징을 이해하고 부서에 배치되어, 실제 직장 내 선배들과 보다 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
    • 직장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자기이해와 타인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새 직장에 완벽하게 적응
이미지
  • 관리자의 부하 육성 스킬 향상
    • 부하의 행동 스타일 파악을 통한 효과적 코칭 능력 향상
    • 서로의 스타일을 이해함으로써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고 팀워크 형성
이미지
  • 영업 현장의 세일즈력 강화 및 영업 거점의 활성화
    • 단 시간(빠른 시간) 내에 고객의 특징을 파악하고, 고객 스타일에 맞는 세일즈를 통해 실적 향상
    • 전국에 거점이 있어 집합연수를 실시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사내강사 활용을 통해 Cost 삭감 가능

LIFO Tool

다양한 종류의 LIFO 진단 Tool을 각 기업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Element 진단

Element 진단이란?

이미지
  • Element란 인간행동의 근원 요소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조직, 팀, 대인관계)에 포커싱 한 진단입니다.
    본 진단을 통해 현재의 조직운영이 임직원 개개인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태도/행동을 높이고 있는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Human Element에 대한 연구는 1952년 FIRO 이론에서 출발하여 긍정심리학의 권위자인 윌 슈츠 박사에 의해 60여 년 동안 개발되어 왔습니다. 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BCon Group에서는 개인과 팀/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글로벌 기업에 Element 진단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Element 진단의 구성

  • 행동1 ) 사교성
    2 ) 통제성
    3 ) 개방성
  • 감정1 ) 중요감
    2 ) 유능감
    3 ) 호감
  • 관계1 ) 자기자신
    2 ) 상사/부하/동료
    3 ) 팀(부문)
    4 ) 조직(회사)
  • 상호작용1 ) 수신
    2 ) 발신

ELEMENT 진단의 특징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문제(약 80%)는 대인관계상의 감정 악화에서 시작되고 있습니다.
Element 진단을 통해 구성원들의 감정과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 현상과 욕구의 GAP을 측정함으로써 건강한 관계와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POINT1 : 구성원들의 감정과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 (중요감/유능감/호감)을 명확히 파악

  • 중요감소중히 여겨지고 싶다.
    배려 받고 싶다.
    무시 받고 싶지 않다.
  • 유능감스스로 결정하고 싶다.
    대처하고 싶다.
    바보 취급 받고 싶지 않다.
  • 호감사랑 받고 싶다.
    따뜻한 대우를 받고 싶다.
    미움 받고 싶지 않다.
  • 이미지

POINT2 : 셀프이스팀(Self-Esteem)을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관계와 팀, 조직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파악

조직문화 밸런스 진단표입니다
조직인식 팀인식
대인관계인식 자기인식

POINT3 : 현실과 욕구의 GAP을 측정하여 구성원의 불만요소를 타파하고 변혁의 포인트를 명확화

  • 아이콘

    현실

    임직원이 생각하고 있는 것
    조직에 대하여
    팀에 대하여
    대인관계에 대하여
    자기자신에 대하여
  • 아이콘

    욕구

    임직원이 더욱 이렇게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조직에 대하여
    팀에 대하여
    대인관계에 대하여
    자기자신에 대하여